CCL, 오픈비즈니스, 정부2.0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CC코리아)는 저작물 공유 운동과 문화, 비즈니스 생태계의 혁신, 그리고 공공 데이터 개방을 이끌고 있는 비영리단체다. 거창하게 소개했다고 큰 조직을 상상하지 마시라. CC코리아에서 활동하는 간사는 많아야 2명. 돈이 많을 것이라고? 팟캐스트에 출연한 CC코리아 강현숙 실장(@hskang)의 말로는 ‘턱없이 부족하다’고 한다.

▲ 팟캐스트 소셜잇수다에 출연한 CC코리아 강현숙 실장

어떻게 가능한 것일까. 그 힘은 CC코리아의 남다른 자원활동가 커뮤니티 운영 방식에서 비롯된다. 대개 비영리단체의 자원활동가는 서류 정리나 문서수발 같은 허드렛일을 돕는다. 하지만 CC코리아에서는 직접 프로젝트 기획에 참여하고, 실행을 리드한다. 강현숙 실장 본인은 CC코리아의 프로젝트와 적합한 자원활동가를 연결해주는 코디네이터 역할을 맡는다고 한다. 자원활동가에게 많은 역할과 권한을 부여하는 만큼 재능 있고 적극적인 인재들이 몰려드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한마디로 CC코리아는 크라우드소싱 방식으로 운동을 한다. 작지만 효율적인 조직, 다른 비영리단체들이 참고해야 할 대목이다.

이야기가 옆길로 샜다. 이번 소셜잇수다는 CCL(Creative Commons License)을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과 CCL을 비즈니스와 공공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CCL은 CC가 제작, 보급하고 있는 저작물 공유 표시 방식이다. 저작물은 저작과 동시에 저작권이 발생하기에 누구도 함부로 사용할 수 없다. 하지만 모든 저작물이 다 ‘나 홀로 감상’을 위해 만들어지진 않는다. 대개 개인들이 만드는 저작물은 남들과 공유하기 위한 목적, 비영리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그런 저작물이 쉽게 공유될 수 있기 위해서는 저작물 공유를 허락한다는 명시적인 표시가 필요하다.

그러한 배경에서 탄생한 것이 CCL이다.

CC코리아의 노력으로 국내 대표 포털사이트들은 블로그와 카페에 CCL을 적용했다. 게시자가 CCL을 표시할지 결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CCL을 제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드물다고 한다.

“CCL의 취지는 저작물의 공유에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저작자 표시만 하고 있습니다.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라면 아예 CCL을 표시하지 않는 것이 더 확실한 방법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저작물의 공유 범위를 밝혀주는 것이 좋습니다.”

공유 목적으로 CCL을 적용했다면 기왕이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해주면 좋을 터. CC코리아는 이를 위해 CCL 저작물 검색엔진 ‘렛츠CC‘를 개발했다. 해외 저작물까지 망라하고 있어 해외 사용자들에게도 인기가 높다고 한다. 다만, 검색되기 위해서는 저작물에 CCL 메타태그를 넣어줘야 하는데, 포털사이트나 유튜브, 플리커 등에서는 CCL을 적용할 때 자동으로 처리된다. 워드프레스 블로그는 플러그인을 적용하면 된다. 하지만 홈페이지처럼 자체적으로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는 경우라면 CC코리아 홈페이지의 안내에 따라 HTML 코드를 넣어줘야 한다.

렛츠 CC 첫 화면. (http://letscc.net/)

이 검색 엔진은 저작물 창작자들에게도 꽤 유용하다. 공짜로 쓸 수 있는 이미지, 동영상, 음악, 텍스트를 똑똑하게 찾아주기 때문이다.

CC코리아는 CCL이 비즈니스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한 까닭에 비즈니스에 CCL을 성공적으로 적용한 기업들을 초청해 컨퍼런스를 개최하기도 한다.

“유럽의 자멘도는 CCL 음원 유통 플랫폼입니다. 음원은 비영리를 전제로 누구나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가수나 밴드들은 CCL로 사람을 모으고 인지도를 올립니다. 팬이 만들어지면 이들은 자연스레 앨범이나 티셔츠, 공연 티켓 같은 유료 상품을 구매합니다.”

프리미엄(Free-mium) 전략은 콘텐츠 비즈니스의 핵심이다. 의도가 무엇이든 간에 무료 콘텐츠를 제공하기로 결정했다면, CCL을 적용해 그 사실을 널리 알리는 것이 현명한 마케팅이다.

CC코리아는 공공 데이터 개방에도 앞장서고 있다. 정부와 공공 기관은 정책 입안과 평가, 공공 서비스를 위해 수 많은 데이터를 수집한다. 하지만, 서울버스 앱 해프닝에서 드러났듯이 정부의 기본 입장은 그런 데이터를 외부에 공개하지 않는 것이었다. 공공 데이터가 시민들에게 버스 도착 시간을 알려주는 유용한 앱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도 말이다. 물론, 그 일을 계기로 입장에 변화가 생기긴 했지만.

CC코리아는 시민들의 알 권리를 넘어 실용적인 입장에서 정부를 설득한다. 공공 데이터 개방으로 정부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을 알려주기 위해 관련 서적을 번역해 보급하기도 한다.

“공공 데이터는 우리의 일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시민들의 삶을 개선시켜 줄 수 있는 유용한 서비스들과 도구들의 재료가 될 수 있습니다. 정부 혼자서는 만들지 못할 다양한 서비스들이 민간 차원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셈이죠.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생태계까지 조성됩니다. 현재 지자체들이 벤처 육성을 한다며 많은 돈을 쏟아 붇고 있는데, 공공 데이터 개방이 더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관심을 보이는 곳이 있으면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는 요령에 대해 코칭을 해 준다.

“공공 데이터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우선 두려움을 없애야 합니다. 혹시나 잘못된 정보로 인해 문제가 생기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말이죠. 하지만, 모든 데이터는 완벽할 수 없습니다. 차라리 시민들의 참여로 오류를 수정하는 것이 더 이득이 클 것입니다. 그리고, 기왕이면 날 데이터로 공개해야 합니다. 콘텐츠로 가공된 형태로 제공하면 다시 원본 데이터를 추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겨납니다.”

경험에서 나오는 노하우, 성과로 이어지는 마케팅

디지털마케팅 관련 고민이 있으신가요?
퍼포먼스 마케팅 기반, 고객사에 맞춤화 된 전략으로 성공사례를 만들어드립니다.

최신 콘텐츠